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부터 시행! 예금자 보호 1억원 상향, 문제점은?

by 황금율 2025. 9. 1.
반응형

오늘부터 시행! 예금자 보호 1억원 상향, 문제점은 관련된 사진

오늘부터 시행! 예금자 보호 1억원 상향, 문제점은?

시행일: 2025년 9월 1일

핵심 변화: 예금자 보호 한도가 5천만 원 → 1억 원으로 확대

짚어볼 문제점: 머니무브 심화, 금융사 부담 증가, 건전성 우려

1. 자금 이동(머니무브) 심화 가능성

예금자 보호 한도가 확대되면서,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으로 자금이 쏠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실제로 금융당국은 예금자보호 확대에 따른 예금 유입 규모가 16~25%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금융사의 비용 부담 증가

보호 한도 확대는 곧 예금보험공사의 지급 재원 확대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들이 부담하는 예금보험료율 인상이 불가피합니다. 이 부담은 장기적으로 대출금리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우려가 제기됩니다. 다만, 새로운 보험료율은 2028년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3. 금융사 건전성 불균형 우려

2금융권의 대형사로 자금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총자산 1조 원 이상 저축은행이 전체 예수금의 약 8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금융사는 자금 확보를 위해 무리한 대출 확대에 나설 수 있어 건전성 관리가 중요합니다.

 

정리

문제점 설명
머니무브 심화 예금이 고금리 2금융권으로 쏠릴 가능성
보험료 부담 증가 금융사 예금보험료 확대 →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
금융사 건전성 불균형 대형사 자금 집중, 중소형사 리스크 확대

 

마무리

예금자 보호 한도의 상향은 예금자의 안전성 확보라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금융권 전반에 부담과 구조적 리스크를 남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단순히 보호 한도만 볼 것이 아니라, 금융사의 건전성·리스크 관리까지 고려해 예금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출처:
YTN – 예금자보호 1억 원 상향
이데일리 – 머니무브 전망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오는 9월 1일부터 예금보호 한도 5000만 원→1억 원으로 상향

금융위원회는 오는 16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예금보호한도 상향을 위한 6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입법예고한다고 15일 밝혔다. 오는 9월 1일부터 은행·저축은행 등 - 정책브리핑 |

www.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