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블 붕괴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교과서·연구로 본 단계별 메커니즘과 실전 체크리스트
요약
- 버블 붕괴는 심리 → 신용 → 유동성 → 실물로 이어지는 연쇄 과정이다.
- 핵심 고리는 레버리지·담보 피드백과 유동성 스파이럴이다.
- 충격의 크기는 사전 건전성 규제와 정책 대응 속도/신뢰에 달려 있다.
- 개인은 레버리지 점검·유동성 쿠션·체크리스트 투자로 리스크를 낮출 수 있다.
1) 버블 개념(교과서 요약)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버블을 “자산 가격이 내재가치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로 정의합니다. 형성은 저금리·풍부한 유동성·낙관적 내러티브가 촉발하고, 붕괴는 기대의 전환·금리 상승·부정적 충격 등으로 야기됩니다. 중요한 점은 모든 버블이 동일한 파국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며, 충격의 크기는 금융 구조와 정책 대응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2) 버블 붕괴의 8단계 메커니즘
- 변위(Displacement) + 과잉유동성 – 기술 혁신·저금리·규제 변화가 촉발.
- 신용증폭·담보가치 상승 – 가격↑ → 담보↑ → 대출↑ → 가격↑.
- 유포리아(Euphoria) – “이번엔 다르다” 내러티브, 심사 완화, 변동금리 노출 확대.
- 균열 – 금리 인상·성장 둔화·규제·사고로 첫 금이 간다.
- 전환점 – 마진콜·유동성 경색, 강제청산.
- 패닉 – 동시다발적 매도, 유동성 스파이럴, 거래절벽.
- 2차 충격 – 신용경색이 실물경제로 전이, 투자·소비 급감.
- 바닥 탐색 – 정책 개입, 디레버리지, 거래 회복 → 가격 안정.
3) 경보·진행 신호 체크리스트
형성/과열기 경보
- 민간신용/GDP 급증, 변동금리 비중 상승
- 주택 PIR·PRR 급등, 미분양 급감
- 주식 CAPE·테마 IPO 과열
- 신용융자 잔고 급증, 레버리지 ETF 거래↑
- “이번엔 다르다” 서사 확산
균열/붕괴 진행
- 금리 상승, 신용스프레드 확대
- 거래량 급감, 호가-체결 괴리
- CP·레포 차환 실패, 환매 가속
- 섹터별 가격 하락 클러스터
- 마진콜·강제청산 신호 증가
4) 증폭 이론 핵심 3가지
- 금융가속기 – 자산가격↓ → 담보↓ → 대출제약↑ → 경기↓.
- 유동성 스파이럴 – 시장·펀딩 유동성 동시 악화 → 강제청산.
- 대차대조표 불황 – 민간이 부채상환에 매몰 → 통화완화 효과 제한.
5) 정책·제도: 연착륙 시나리오
- 사전: DSR·LTV 규제, 은행 자본·유동성 버퍼.
- 사중: 중앙은행 유동성 백스톱, 스프레드 완화.
- 사후: 배드뱅크·부실정리, 채무조정·고정금리 전환.
- 커뮤니케이션: 정책 신뢰 형성, 데이터 기반 대화.
6) 개인의 실무적 행동 지침
- 레버리지 관리 – 스트레스 금리(현 수준 +200bp)로 상환능력 점검.
- 유동성 쿠션 확보 – 현금·단기채 유지.
- 분산·시간분산 투자 – 섹터·기간별로 분할.
- 거래절벽 경계 – 가격보다 거래 회복 여부 먼저 확인.
- 체크리스트 투자 – 경보 신호 다수 점등 시 포지션 축소.
7) 전형적 타임라인
- 0~2년: 변위·유동성 확대
- 2~4년: 신용증폭·밸류에이션 괴리
- 4~5년: 균열 신호 → 거래량 둔화
- 5~6년: 마진콜·디폴트 클러스터
- 6~7년: 정책 개입, 거래 회복 → 안정
8) 우리(한국)를 위한 적용 포인트
- 부동산: 단기 조정 = 붕괴로 단정 금지. PIR·미분양·거래량·금리 동시 관측.
- 주식: 심리 vs 펀더멘털 분리, 산업 사이클 점검.
- 가계부채: 고정금리·만기구조 점검, 유동성 버퍼 필수.
- 정책 신뢰: 위기 자체보다 대응 속도·일관성이 충격 크기 좌우.
참고문헌 / 연구 자료
- Friedman, M. & Schwartz, A. (1963), A Monetar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 Shiller, R. (2000, 2015), Irrational Exuberance
- Bernanke, B., Gertler, M., & Gilchrist, S. (1999), “The Financial Accelerator...”
- Brunnermeier, M. & Pedersen, L. (2009), “Market Liquidity and Funding Liquidity.”
-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 OECD, Economic Surveys: Korea
A Monetar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867–1960
www.nber.org
반응형